백과
블로그
블로그
스택 시리즈
소개
로그인
백과 블로그
메뉴 열기
로그인
[자료 구조] 스택과 큐, 그리고 데크
자료구조
[자료 구조] 스택과 큐, 그리고 데크
백과
2025년 9월 8일
5분 읽기
목차
스택과 큐, 그리고 데크
✅ 스택 (Stack)
📌 스택의 특징
📌 스택의 시간 복잡도
📌 스택의 활용 예시
✅ 큐 (Queue)
📌 큐의 특징
📌 큐의 시간 복잡도
📌 큐의 활용 예시
✅ 데크 (Deque)
📌 데크의 특징
📌 데크의 시간 복잡도
📌 데크의 활용 예시
🚀 깊게 알아보기
🤔 스택 2개로 큐를, 큐 2개로 스택을 만드는 방법과, 그 시간복잡도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.
🤔 시간복잡도를 유지하면서, 배열로 스택과 큐를 구현할 수 있을까요? - 가능합니다. - 스택은, 마지막 위치의 인덱스 관리만 진행한다면 O(1) 의 성능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.
🤔 Prefix, Infix, Postfix 에 대해 설명하고, 이를 스택을 활용해서 계산/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.
🤔 Deque는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요?